국립춘천박물관의 정면에서 볼 때 왼쪽에 현묘의 정원이라는 작은 공간이 있는데, 박물관에 전시하기에는 좀 어려운 유물들을 모아서 야외 전시장처럼 꾸며 놓았습니다.

 

현묘(玄妙)는 삼국사기에서 보면,  유교, 불교, 도교등을 두루 통합하는 우리 고유의 사상이라고 최치원이 지칭한 말이라고 합니다.

 

※ 자료사진은 국립춘천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국립춘천박물관 1층 왼쪽에 작은 공간이 현묘의 정원입니다. 잠깐 부담없이 둘러보기에 좋은 곳입니다.

 

▼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인데, 갑석이하는 없이 탑신석과 지붕돌만 남아 있으며, 일층과 삼층의 탑신석을 보면, 층급받침을 탑신괴임처럼 추가한 것이 특이합니다. 

 

▼ 1층 탑신석에 문비를 새겼습니다

 

▼ 엄청 큰 지붕돌이 두개만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의 석탑의 부재입니다. 

 

▼ 지붕돌의 맨 마지막 지붕돌에 있는 찰주(擦柱)이며, 찰주는 탑의 상륜부들을 고정하기 위한 쇠기둥입니다

 

▼ 유물들은 거의 담장 아래에 놓여 있으며 유물마다 이름표가 있습니다.

 

▼ 연화대좌는 주로 좌불을 받치는 용도이며, 현묘의 정원에는 3개의 연화대좌가 있습니다.

 

▼ 처음 보는 특이한 연화대좌인데, 모서리와 중간에 하나씩 귀꽃이 달려 있으며, 거의 깨져 있습니다. 

 

▼ 주로 약초를 찧는데 사용하던 약절구이며, 만(卍) 자를 새긴 보기 드문 절구입니다.

 

▼ 보기 드물게 거의 완벽한 형태의 석조광배와 석조아미타불좌상입니다.

 

▼ 아미타불좌상의 대좌는 사각이 아닌 동그랗고 기다란 형태를 하고 있으며, 연꽃은 앙련(仰蓮)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 석조광배는 석가모니의 등뒤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신비함과 위대함을 상징합니다. 가운데 작은 구멍은 석조석가모니의 등에 일정한 거리로 붙어 있게 쇠를 꽃아 두는 구멍입니다

 

▼ 인자한 모습의 석조아미타불좌상입니다

 

▼ 세개의 아름다운 사각의 돌은 아무래도 비석의 대좌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설명대로라면, 비석을 꽃을 사각 홈이 파여 있어야 하는데, 그냥 평평한 것이 비석의 대좌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자료에서 보면 이는 향로석(香爐石)이라고 하는데, 묘의 상석 앞에 설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왕의 자손들의 태를 묻는 태실석함이며, 석함과에 태실항아리를 넣고 덮개돌로 덮습니다. 조선의 왕실에서는 모든 왕자, 공주, 옹주의 태를 전국의 좋은 곳의 봉우리에 묻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모든 태항아리를 파내어 사삼릉 묘역에 따로 묻었습니다.

 

전국의 지명에서 혹시 태봉리 또는 태장리라는 지명이 있으면 거의 왕의 아기씨들의 태를 묻었던 곳입니다.

 

※ 국립춘천박물관  야외(현묘의 정원)에 전시되어 있는 태실의 태함은 경기 양평군 대흥리에서 발굴된 왕자 부수(富壽) 태함이며, 1980년대에 도굴되었는데, 남아 있던 태함은 1989년 11월 28일에 국립중앙 박물관에서 소장하였다가, 2003년 국립춘천박물관으로 이전하였습니다.

 

왕자 부수(富壽)는 태지석의 명문 ‘皇明弘治三年二月二十八日辰時生 王子富壽阿只氏胎 弘治七年六月十日卯時藏’에서 보면 태주는 1490년(성종 21) 2월 28일 진시에 태어난 왕자 부수富壽이고, 1494년(성종 25) 6월 10일 묘시에 장태하였음 알 수 있는데, 군호를 받기전에 사망하여, 아기이름인 부수(富壽)만 알 수 있으며, 성종의 아들인것만 알 수 있고, 친모가 누군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 태함은 땅속에 깊이 묻히는데, 배수구멍이 있으며, 내부에는 백자로 만든 태항아리가 안치됩니다

 

▼ 이 돌은 태함의 덮개돌이며, 태항아리가 태함에 안치되면 덮는 뚜껑돌입니다

 

▼ 불상대좌라는 이름표가 있는데, 일반적인 불상대좌와는 너무 다릅니다

 

▼ [자료사진] 화강암에서 스며 나오는 산화철를 벗겨낸 모습을 보니, 문양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 맷돌입니다

- 여기까지입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