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사의 천왕문 안에 있는 칠장사소조사천왕상(七長寺塑造四天王像)은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흙으로 살을 입힌 사천왕상입니다.

 

소조(塑造)라 함은 진흙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하는데, 천왕은 동 · 서 · 남 · 북을 수호하는 불가(佛家)의 신으로 본래는 인도의 민간신이었으나 불교의 대승화에 따라 불교에 수용되었으며, 부처님의 도량과 불법을 수호하는 신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많이 조성되기 시작했습니다.

 

□ 명   칭 : 칠장사소조사천왕상(七長寺塑造四天王像)

□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칠장리 764번지)
□ 출토지 : 소재지와 동일

□ 분   류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15호

□ 시   대 : 조선후기1726년(영조 2)


▼ 천왕문 안의 좌,우에 사천왕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 사천왕의 이름은 어느 절집이나 동일하게 하여 꾸미는데, 다만 모양은 조금씩 다릅니다. 사천왕을 각각 구분하는 방법은 손에 들고 있는 지물을 보고 구분합니다만, 각종 문화재 자료에서도 다른 자료가 많습니다.

사천왕상은 배치 및 모양은 각 사찰마다 경전을 따르느냐, 시대적으로 전해져 오던 관습에 따라서 다릅니다

 

※ 사천왕은 동,서,남,북의 구분이 있지만, 들고 있는 지물은 각 사찰마다 다릅니다,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동방지국천왕(칼 또는 비파)

- 남방증장천왕(용과,여의주 또는 칼).

- 서방광목천왕(삼지창 또는 용과 여의주)

- 북방다문천왕(비파 또는 삼지창과 보탑)


※ 문화재청 설명으로 칠장사의 소조사천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사천왕’이란 불교 세계의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는 수문장으로, 부처와 불교 진리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받아들여졌다.


‘칠장사 사천왕상’은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진흙을 붙여 채색한 소조불(塑造佛)이다. 얼굴에는 불거져 나온 부릅뜬 눈, 잔뜩 치켜올린 검은 눈썹, 크게 벌어진 빨간 입 등 두려움을 주는 얼굴에 손에는 큼직한 칼 등을 들고, 발로는 마귀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조선 후기 사천왕상의 또 다른 특징 하나는 투구 대신 보살이 쓰는 보관을 쓴다는 점으로, 칠장사 사천왕상의 보관은 꽃과 구름, 불꽃무늬로만 장식해 단순한 편이다. 아마도 사천왕상의 험상궂은 느낌을 누그러뜨려 자비롭고 온화한 느낌을 주려는 뜻이 담긴 듯하다.

 

​갑옷 속에는 평상복을 입었고 갑옷 위에는 하늘세계(天界)의 존재임을 나타내는 하늘 옷(天衣)을 걸쳤다. 가슴에 입은 흉갑(胸甲; 가슴 갑옷) 위로 목에 묶어 두른 수건도 여느 사천왕상과 같다.

 

칠장사 소조사천왕상은 천왕문이 건립된 1726년(영조2)에 함께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시대 대부분의 소조 사천왕상이 17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점을 고려할 때 18세기 전반의 소조 사천왕상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작품이다. 17세기 사천왕상에 비해 생동감이나 역동적인 분위기가 사라지고 경직된 모습에서 시대 변화를 느끼게 한다.

 

▼ 용과 여의주(좌)는 남방증장천왕(용과,여의주), 창(우)은 서방광목천왕 입니다.

 

▼ 비파(좌)는 북방다문천왕, 칼(우)은 동방지국천왕 입니다.

 

▼ 오석으로 만든 안내문은 좀 보기가 안 좋습니다. 안내문을 새길 때 사천왕의 이름이 잘 못 되었는데, 안내문 감수가 없었나 봅니다. 종이로 덧 붙였는데, 디자인하는 업소에 주문해서 스티커로 표시 안 나게 색깔을 맞추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칠장사 누군가에 의해서 잘못된 사천왕의 이름을 바로 잡았습니다

 

▼ 칠장사 소조사천왕상을 개별로 보겠습니다(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 : 칼 -

 

-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 : 용과 여의주 -

 

-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 : 창과 왼손은 허리(보탑을 들고 있는 경우도 있음)

 

-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毘沙門天王) : 비파 -


▼ 참고로 순천 송광사의 사천왕상(보물)을 보겠습니다. 안성 칠장사의 사천왕상과 같이 흙으로 만들었고, 모습을 보면 송광사의 사천왕상은 훨씬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문화재청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다음은 완주 송광사의 소조사천왕상을 보겠습니다(보물입니다)__문화재청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다음은 장흥 보림사의 목조사천왕상(보물)을 보겠습니다_문화재청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