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과 탑비는 고려시대의 승려 홍법국사의 유골을 봉안한 승탑과 홍법국사의 업적을 기리는 탑비입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 탑은 본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의 정토사 터에 있었던 것으로, 1915년에 탑비(塔碑)와 함께 현 위치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홍법국사(신라말~고려초)는 통일신라 신덕왕대(53대; 912~917)에 태어나 12살의 나이에 출가하였고, 당나라를 다녀온 뒤 선(禪)을 크게 일으켰으며,그 후 정토사에 머물다 입적 하였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忠州淨土寺址弘法國師塔))]
□ 소재지 :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 출토지 : 충주 정토사지
□ 크 기 : 높이 2.55m.
□ 분 류 : 국보
□ 시 대 : 고려 현종 8년(1017년) 추정
▼ 일제강점기때의 자료사진인데,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문화재에도 가차 없는 발굴조사를 많이 했는데, 그때 정토사지의 초석을 발굴하는 모습의 사진들 입니다-e_뮤지엄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발굴조사때 출토된 와편에서 정토사(淨土寺)의 명문이 발견되었습니다
▼ 정토사지에 있었을때의 홍법국사탑의 모습입니다.
▼ 자료사진에서 보면 홍법국사탑이 웬 가정집 안에 놓여져 있는데, 여래좌상도 보이고, 뒷쪽에는 석등 같은 것도 보입니다. 1915년에 정토사지에서 경복궁으로 직접 옮겨진것이 아니라 어느 일본인 집에 있다가 경복궁으로 옮겨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경복궁 조선총독부 박물관 앞에 있는 홍법국사탑과 탑비의 모습입니다.
▼ 홍법국사탑의 모양을 먼저 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승탑의 모양을 볼때 사리를 넣어 두는 탑신의 모양이 팔각면이 아닌 공 모양으로 둥굴게 처리 하였습니다.
▼ 승탑의 재질은 일반 화강암이 아닌 흑줄이 들어 있는 대리석으로 흔치 않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정토사지 홍법국사의 자세한 설명 입니다.
▼ 옥개석의 8개 귀꽃은 한개만 남기고 모두 파손 되어 있는데, 그것도 보수 흔적이 보입니다. 아마도 대리석의 특성상 쉽게 파손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상륜부가 옥개석과는 이질감을 보이는데, 원래의 상륜부가 아닌 후보 한 느낌이 납니다. 일제강점기때의 자료사진을 보면, 상륜부가 파손이 되었지만, 어느 정도는 남아 있었는데, 그 모양을 기준 삼아서 다시 만든것으로 보입니다.
▼ 옥개석의 하부를 보면 비천상 같은 문양이 보입니다.
▼ 기단부의 모습도 대체로 양호하며, 중대석의 문양은 8면의 안상 안에 용 문양이 들어 있습니다
▼ 홍법국사의승탑과 탑비를 보면 같은 대리석으로 한쌍이란 것을 알 수 있는 특이한 경우 입니다. 그렇지만, 지금처럼 승탑과 탑비가 옆에 있지는 않았고, 사찰내의 지근거리에 떨어져 있었을 것 입니다.
▼ 일제강점기때의 자료사진으로 보는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입니다
▼ 일제강점기때의 자료사진으로 보는 홍법국사탑비의 탁본 입니다. 상단에 開天山淨土寺故國師弘法大禪師之碑(개천산정토사고국사홍법대선사지비)’라는 전액(篆額)이 보입니다.
▼ 경복궁에 옮겨졌을때의 모습입니다. 1915년에 개최된 일제의 조선공진박람회때 조선의 폐사지에서 가져온 석탑,승탑, 승타비등이 석물조경용으로 많이 전시 되었습니다. 그후 2005년경 대부분이 현재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 되었습니다.
▼ 홍법국사의 와 홍법국사탑비의 설명문 입니다
▼ 이수 앞면 가운데에 ‘實相之塔(실상지탑)’이라는 해서의 제액이 있습니다. 실상(實相)은 홍법국사가 입적하자 고려 목종이 내린 시호입니다.
▼ 충주 정토사지에는 또 다른 탑비가 있는데, 법경대사탑비이며, 일제강점기때의 자료사진입니다. 지금은 충주 정토사지에 있습니다.
- 끝 -
'▣ 역사.문화재.사찰 > 서울지역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구단(환구단)의 황궁우 (0) | 2023.05.24 |
---|---|
보신각터(普信閣址)-서울 종로 (0) | 2023.05.22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 보월능공탑(국립중앙박물관) (0) | 2021.12.15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 현기탑비 (0) | 2021.12.14 |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립중앙박물관)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