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현충사(1)에서는 충무공 이순신 유허지 중심으로 둘러 보았고, 이번에는 사당(祀堂)중심으로 둘러 보았습니다.

 

현충사는 1706년 숙종 임금 때 건립되어 이순신 장군을 향한 추모의 향불이 끊이지 않았으나,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어 그 자취가 사라져 버리고 유허비만 남게 되었다,

 

그후 일제 강점기때 ‘충무공묘소 위토 경매 사건’이 발단이 되어 전국민이 거국적으로 모은 성금으로 1932년 현충사를 중건(重建)하게 되었다.

 

이후 1967년에 박정희 대통령의 성역화 지시로 순한국식 콘크리트 구조로 된 현재의 현충사로 세워졌고, 기존의 건물은 서편 참배로 옆으로 이전하여 ‘구 현충사’라 부른다.

 

현충사에 모셔져 있는 이순신 장군의 영정은 월전 장우성 화백의 1953년도 작품으로 1973년에 국가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영정을 그릴 때 친분이 있었던 유성룡(柳成龍)이 쓴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책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용모에 관한 기록을 참고하였다.

 

내용은 “舜臣爲人 寡言笑 容貌雅飭 如修謹之士 而中有膽氣 忘身殉國 乃其素所蓄積也” (순신의 사람된 품이 말과 몸을 잊고 나라를 위해 죽었으니 이는 본래부터 수양해 온 소치라 하겠다) 이다.

 

건물 안쪽 벽에는 이순신 장군의 일생 중에 특기할 만한 사건 10가지를 묘사한 십경도(十景圖)라는 그림이 있다. 서울대 미대 정창섭, 문학진 교수의 작품이고 1970년 한국기자협회에서 기증하였다.

 

현충사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탄신일을 기념하여 매년 4월 28일 정부주관으로 제전을 올리고 있다._현충사관리소 홈페이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현충사로 들어가는 길은 이 반송앞에서 좌측으로 (구)현충사, 직진이면 현재의 현충사로 길이 갈립니다. 우측길은 고택으로 가는길입니다.

 

현충사관리소의 홈페이에서 보면 현충사(顯忠祠)는 어려운 시대에서도 뜻이 있는 분들의 성원에 지금까지 향불이 꺼지지 않았고 현재까지 온 국민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마땅이 받들고, 추모의 예를 다하여야 하는 성웅 이충무공의 이순신의 사당이 현충사 입니다.

 

▼ 현충사로 올가는 길의 왼쪽에는 (구)현충사 건물이 있습니다. 이 (구)현충사는 일제강점기때인 1932년도에 중건하였던 원형 그대로 현재의 위치에 복원한 사당입니다. 대원군의 극심한 서원(사당)의 폐해로 인한 철폐의 과정이 있었지만, 왜(倭)의 이순신 흔적 지우기에 민족의 정신으로 현충사를 다시 세우고, 향에 다시 불을 피우니, 그 정신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구)현충사는 지금이 현충사 보다는 아래쪽에 있었는데, 1967년 박정희 전대통령의 현충사 성역화 사업때, 현재의 위치로 해체,복원이 되었습니다.

 

▼ (구)현충사 내부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 1932년 동아일보의 모금운동에 힘입어 중건하게된 현충사의 모습입니다. 이 사진은 일제강점기때의 사진으로 지금의 현충사 보다는 아랫쪽에 있었습니다. 아마도 지금의 내삼문의 위치에 있었다고 봅니다._출처는 문화재청 e_뮤지엄입니다

 

▼ 현충사로 들어가는 입구, 홍살문앞에 섰습니다.

 

▼ 현충사 내삼문앞입니다. 1974년에 성역화 사업이 마무리 될때의 현충사 건물은 콘크리트 건물로 만들어졌습니다. 목조건물처럼 단청을 하였습니다.

 

▼ 현재 이순신장군의 영정은 월전 장우성 화백의 1953년도 작품으로 1973년에 국가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원래 초상화를 기준으로 그린것이 아니고, 유성룡이 쓴 징비록에 쓰인 장군의 용모를 유추하여 그런것이기 때문에 생각과는 많이 다른 느낌을 주는 영정입니다.

 

▼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여)가 1919년 부터 조선을 방문하면서 그렸던 이순신장군의 초상화를 보면 무관이었던 장군의 카리스마가 더 장군의 이미지에 적합하게 보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는 엘리자베스 키스가 1946년에 펴낸 Old Korea에 수록되어 있었는데 송영달 전 미국 이스트캐롤라이나 교수가 지난 2006년 2월 처음 번역 출간했다고 합니다.

 

지금의 표준영정과 엘리자베스 키스가 그린 초상화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오른쪽의 그림은 이순신장군의 초상인데, 전형적인 조선의 무관의 카리스마가 넘쳐 보입니다. 배경의 거북선 그림이 더욱더 사실감을 더해 줍니다.

 

▼ 현충사 앞에서 내려다 보는 모습입니다.

 

▼ 현충사 경내에는 배롱나무꽃이 흐드러지게 피었습니다.

 

▼ 경내를 빠져나와서 옆에서 보는 모습입니다.


현충사를 나와서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묘에 들리려 했는데, 장기간 공사중이었습니다. 2021년12월 31일까지 공사후 2022년1월에 묘역에 드나들 수 있다고 합니다. 묘역 입구에 있는 신도비만 보고 왔습니다._이하 내용은 디지탈아산문화대전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이순신 신도비는 묘역 입구를 알리는 동시에 이순신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충청남도 지역에서 보기 드문 귀부이수 형식의 비석이며, 조각된 소재나 조각 방법 등이 비석 제작 장인들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보통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도(神道, 신령이 지나가는 길)인 무덤 남동쪽에 지점에 남쪽을 향하여 세운 비석이며, 묘 주인공의 삶을 기록한 비문을 새깁니다.

 

▼ 이순신장군의 신도비 바로 서쪽에 5대손 이봉상의 신도비가 나란히 서 있고 보호각은 없습니다.

 

[건립 경위] 충무공 이순신(李舜臣)[1545~1598]의 외손인 홍우기(洪宇紀)[1633~?]가 김육(金堉)[1580~1658]에게 청해 신도비문을 받았다. 이어 오준(吳竣)[1587~1666]이 비문을 쓰고, 이정영(李正英)[1616~1686]이 전자(篆字)를 썼다.

 

1660년 건립을 계획했으나 비석의 규모가 워낙 커서 다 새기지 못했다. 이후 1693년 이순신의 증손인 이광진(李光震)[1646~1696]이 충청도 수군절도사로 부임하면서 비석 건립을 마쳤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