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양도성의 6번째 구간인 백악구간이며 마지막 구간인 창의문에서 부터 백악산을 거쳐서 혜화문까지의 약 4.7Km를 성곽을 따라서 걸어 보겠습니다만, 사실 백악구간은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진을 마음대로 찍지 못하는 구간이며, 경사도가 심해서 상당히 힘든 구간입니다. 창의문(또는 말바위안내소)에서 신분확인후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분증을 꼭 가지고 가서 출입신고서를 작성한 후 출입해야 합니다.

 

※ 여기에 기록된 내용은 일부분 인터넷 "서울한양도성"홈페이지에서 인용되었습니다.


 ▼ 백악산구간에서 뒤돌아보며 사진을 담아본 인왕산의 모습입니다. 상당히 가파른 성곽길입니다.

 

▼ 한양도성길중에서 가장 길고 가장 힘이드는 구간인 백악구간의 지도 입니다. 거리가 긴 구간이어서, 물을 충분히 가지고 가야 하며, 중간에 화장실이 없으므로 창의문안내소나, 말바위안내소에서 미리 볼일을 봐두어야 합니다.

 

백악구간을 창의문에서 시작한다면 지나게 되는 장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창의문-창의문 안내소-백악 돌고래 쉼터-백악 쉼터-백악마루-1·21 사태 소나무-청운대-암문-백악 곡성-백악 촛대바위-숙정문-말바위 안내소-우수조망명소-와룡공원-암문-서울과학고등학교-경신고등학교-혜성교회-두산빌라-구 서울시장공관-혜화문 

 

▼ 창의문(彰義門)은  인왕산과 백악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문입니다.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 문루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이 문루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영조 17년(1741) 다시 세운 것입니다. 영조 때 문루를 새로 지으면서 인조반정때 반정군이 이 문으로 도성에 들어온 것을 기념하기 위해 공신들의 이름을 새긴 현판을 걸어놓았는데, 이 현판은 지금도 그대로 걸려있습니다. 현재는 자하문으로도 불리는데, 이 문 부근의 경치가 개경(開京)의 승경지(勝景地)였던 자하동과 비슷하여 붙은 별칭이라고 합니다. 

 

▼ 창의문에서 백악산으로 올라가는 성곽길의 모습입니다.가끔씩 초소가 보이고, 경비병들도 일정한 간격으로 보이는 곳 입니다.

 

▼ 돌고래쉼터를 지나서 만나게 되는 암문의 모습입니다. 성밖에서 볼때는 문이 없는것 처럼 깊숙히 감쳐져 있어서 적군이 찾을수 없는 문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 창의문에서 백악산으로 올라가는 계단길은 무척 가파르기 때문에 가끔은 쉬어가야 합니다. 쉬어 가면서 바윗돌에 적힌 글씨를 보는데, 자북정도(紫北正道):자하북쪽의바른길???, 박정희 전대통령의 글씨라고 하네요...

 

▼ 백악구간은 대부분 사진을 찍지말라는 경고판이 많아서 멀리찍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름답기만한 성곽길입니다.

 

▼ 지나온 인왕산이 보이는곳에서 담아보았습니다. 오른쪽 바위는 인왕산기차바위랍니다.

 

▼ 창의문 밖으로 보이는 서대문구의 모습입니다.

 

▼ 백악산(북악산)의 표지석입니다. 해발 342m로 그리 만만한 산이 아닙니다. 처음 성을 쌓을 때 공사 구간을 97개로 나눴는데 각 구간의 이름을 천자문 순서에 따라 붙였으며,  시작 구간은 천(天), 끝나는 구간은 조(弔)라고 하고, 이곳이 성곽공사를 시작하게된 바로 천(天) 구간에 해당되는 곳입니다.

 

▼ 백악마루에서 청운대로 내려가는 길에 1·21 사태 소나무가 있습니다. 수령이 200년 정도 된 나무인데 15발의 총탄 자국이 남아 있습니다. 이 총탄 자국은 1968년 1월 21일, 청와대를 습격하려 침투한 북한 특수부대원들과 우리 군경이 교전한 흔적입니다. 북한군의 124부대원 31명중 29명이 사살, 1명 도주,1명 생포의 결과였으며, 이후 박정희 정권의 안보우선정책에 따라서 고등학교,대학교에서 군사훈련이 실시되었고, 육군장교 양성학교인 육군제3사관학교 및 에비군이 창설되었습니다.

 

▼ 1968년 1월21일, 창의문에서 도주하는 북한군의 특수부대와 우리 군경의 교전이 있었던곳의 모습입니다. 이 사태로 인해서 국가안보와 관련된 여러가지 정책들이 시행되었습니다.

- 예비군창설(200만명)

- 육군3사관학교 창설

- 고등학교/대학교 교련학습 실시

- 전국민의 주민등록증 발급

- 전투경찰 창설

- 군복무기간 연장(육군,해병대는 6개월,해군,공군은 3개월), 5분대기조 신설

- 팀스피리트(한미합동훈련)실시등

 

▼ 인의예지중에서 지에 해당하는 숙정문입니다만, 내부는 수리중입니다

 

▼ 숙정문은 한양도성의 북대문입니다다. 처음에는 숙청문(肅淸門)이었으나 숙정문(肅靖門)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현존 도성문 중 좌우 양쪽으로 성벽이 연결된 것은 이 문이 유일합니다. 1976년에 문루를 새로 지었습니다.

 

▼ 숙정문에서 말바위 안내소로 가는길의 모습입니다

 

▼ 말바위에서 지나온 백악산을 바라보며 잠시 쉬어 갑니다.

 

▼ 말바위는 삼청공원 안에 있는 바위로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백악의 끝자락에 있는 바위여서 말(末)바위라 하였다고도 하고, 말을 타고 온 사람들이 산에 오르기 전에 이 바위에 말을 매어 두어 말(馬)바위가 되었다고도 합니다. 동쪽 능선을 따라 백악에 오를 때 갑자기 경사가 급해지는 지점인데, 그래서 말을 매어 두는 바위라는 설이 유력하답니다

 

▼ 말바위 아래에 있는 조망터에서 서울시내를 바라봅니다.

 

▼ 와룡공원방향으로 가려면 성밖으로 길을 바꾸어서 넘어가야 합니다. 즉 말바위에서 성곽을 넘어서 성밖으로 성곽길을 가야 합니다.

 

▼ 이제 와룡공원에서 잠시 쉬었다가 헤화문 방향으로 내려 갑니다.

 

▼ 와룡공원에서 혜화문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은 대부분 공원길입니다.

 

▼ 이 암문으로 나가면 성북구 북정마을입니다.

 

▼ 성곽안으로는 대부분 공원지역이라서 시원한 성곽길을 지나갑니다.

 

▼ 서울과학고등교 옆에서 성곽은 끊어지며 경신고등학교 방향으로 길을 찾아 갑니다

 

▼ 경신고등학교 담장의 기초돌로 사용되고 있는 성곽돌입니다. 담벼락에 깔린 성돌을 바라보는 마음이 좀 짠합니다.

 

▼ 경신고등학교 담벼락에 깔린 성곽을 따라서 진행합니다

 

▼ 600년된 한양도성의 성곽이 담벼락에 깔려 있는 모습을 보면서.. 이건 아닌데...하는 착찹한 마음뿐입니다

 

▼ 경신고등학교 정문의 혜화문 방행표시를 보고 진행합니다. 여기서 200미터 정도는 성곽의 흔적도 없는 길을 가야 합니다

 

▼ 일반주택의 담벼락에도 성곽은 깔려 있고...이정도라도 성곽의 흔적이 남아있는것을 감사해야 합니다

 

▼ 고급빌라 담벼락에도 성곽은 깔려있습니다

 

▼ 동네 골목길앞에서 만나는 온전한 성곽을 만나는데, 일반주택 담장사이로 만들어진 문을 지나서 성곽길을 갑니다

 

▼ 혜화문쪽에서 바라보는 끊어진 성곽입니다.

 

▼ 혜화문의 문루가 보입니다.

 

▼ 혜화문은 한양도성의 북동쪽에 있는 문입니다. 창건 당시에는 홍화문이었으나 창경궁의 정문 이름을 홍화문으로 지음에 따라 중종 6년(1511) 혜화문으로 개칭하였습니다. 문루가 없던 것을 영조 때에 지어 올렸습니다. 문루는 1928년에, 홍예는 1938년에 헐렸는데 1994년 본래 자리에북쪽에 새로 지었습니다.

 

▼ 어찌되었든 새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홍예문을 뒤로 하고 서울한양도성 성곽길의 순성(巡城)을 마칩니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