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의 탑신 속에 안치하는 부처는 보통 개별로 안치하는 것도 있는데, 고려말부터 조선초기까지 목조건축물처럼 만든 불감(佛龕)을 만들어 그 속에 삼존불을 안치해서 석탑에 봉안(奉安)하는 행위가 있었습니다.
▼ 아랫쪽에 청동불감과 위쪽에 금동불감이 전시되어 있는데, 금동불감 내부에는 작은 금동불입상과, 금동보살입상이 들어 있습니다.
금동불감의 설명(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전각 형태로 만든 고려시대 불감으로 지붕의 기와는 푸른색의 청동으로 남아있고, 불감의 정면 여닫이문과 내부의 판불은 금동판으로 제작하였다. 불감의 측면과 후면에는 은판이 붙어 있으며 불감 전체는 나무 판 위에 올려져있다. 불감의 내부에는 타출 기법을 사용하여 존상을 도드라지게 양각한 금동판을 부착하였다. 금동판에는 부처와 합장한 보살이 각각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으며 그 주위에 십대 제자들이 둘러싸고 있다. 불감 안쪽 안쪽 부처의 좌우에는 각각 사자를 탄 문수보살과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을, 불감의 양문 안쪽 면에는 인왕상이 타출 기법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불감의 내부 천정에는 용을, 바닥에는 연꽃을 장식했다. 불감의 바깥 측면에 각각 2구씩의 사천왕상을, 뒷면에는 구름에 휩싸인 신중(神衆)들과 연꽃넝쿨무늬를 은판에 새겨 표현하였다. |
▼ 금판에 돋을새김으로 부처를 새기는 타출 기법은 금속판의 안쪽 혹은 바깥쪽에서 정을 두드려 문양을 부조처럼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장식 기법으로서, 고려시대에 유행한 기법입니다
▼ 금동불좌상·금동보살입상(덕수 2116)은 금동불감(덕수 2115) 내부에 있었던 3점의 금동불상중 2점의 모습이며, 금동불좌상(좌), 금동보살입상(우)입니다. 중앙의 본존불(석가여래좌상)의 자료사진은 찾지 못해서 좌우의 협시불의 자료사진만 올립니다.
혹시 금동불감에 원래 2점의 불상만 들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생각해 보기도 합니다.
▼ 금동불감의 좌,우의 문을 보면, 섬세한 솜씨로 인왕상이 타출 되어 있습니다
▼ 금동불감의 내부를 보면, 삼면의 벽과 천장에 빼곡하게 세밀한 솜씨로 삼존불을 타출기법으로 만들었는데, 마치 영산회도를 보는 듯합니다
▼ 국립중앙박물관의 금동불감과 동일한 형식을 지닌 불감이 전남 구례 천은사에 소장되어 있는데, 불감 안에는 금동불 2구가 안치되어 있습니다.
▼ 구례 천은사 금동불감을 유리건판 사진으로 보면 더 잘 보입니다
▼ 청동불감은 금동불감에 비해서 관심은 덜할 수는 있지만, 벋침 측면에 새겨진 영락 15년(1417년)의 글자로 조선 태종 17년에 만들어진 청동불감을 확인하는 뜻이 있습니다
- 여기까지입니다 -
'▣ 역사.문화재.사찰 > 서울지역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조각실_남양주 수종사 금동불상(국립중앙박물관) (0) | 2024.02.02 |
---|---|
불교조각실_금동약사불입상(국립중앙박물관) (0) | 2024.02.01 |
불교조각실_철조불좌상(국립중앙박물관) (0) | 2024.01.23 |
불교조각실_철조불두(국립중앙박물관) (0) | 2024.01.22 |
불교조각실_목조여래좌상(국립중앙박물관)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