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조각실에 전시된 불상 중에 처음 보는 작은 불상이 있어서 자세히 보았는데, 흙으로 만들고 유약을 발라서 구운 불상이었습니다.

 

명칭을 보면, 도제여래좌상(陶製如來坐像)이며, 번조석불(燔造石佛)이라고도 하였으므로, 도자기를 만드는 방법으로 불상을 만들었습니다

 

이 흙으로 구워서 만든 석불이 조선에 있다는 소문이 청나라에 까지 들어갔었는지, 인조 12년(1634년) 청나라의 사신이 요구한 물건 중 "번조석불(燔造石佛)"이 포함돼 있다고,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에 기록되어 있고, 정시한(丁時翰,1625~1707)은 그의 『산중일기(山中日記)』에서 조선 숙종 13년(1687년) 금강산 보덕굴에서 "번자불燔磁佛"을 보았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이미 번자불(燔磁佛)의 제조기술이 상당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자료사진, 자료는 e뮤지엄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재질 : 도자기
※ 높이 : 35.2cm,

※ 소장품번호 : 덕수 5300


▼ e뮤지엄에서 인용한 '도제여래좌상'의 자료사진들입니다


도제석불은 아니지만, 비숫한 형태의 응회석 여래좌상을 알아보았습니다

가부좌한 두 무릎 위로 두 손을 가지런히 올려놓은 자세를 하고 있는 응회석 여래 좌상(凝灰石如來坐像)의 재료는 무른 응회석인데, 응회석은 화산이 분출할 때 뿜어져 나온 화산재들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으로 무른 성질이 있습니다

 

칼로 깎아 내면서 다듬어진 불상으로서 곱슬머리 형태의 나발(螺髮) 가늘고 긴 눈에는 눈동자를 그려 넣었고, 몸 전체에 흰 가루가 칠해져 있습니다

 

- 크기 : 높이 25.5cm, 너비 18.6cm
- 소장품번호 : 신수 2655

- 여기까지입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