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삼릉의 공릉은 조선국왕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의 능이며, 단릉으로 되어 있습니다. 장순왕후는 한명회의 셋째딸로서 세조의 아들인 예종이 세자였을때 결혼하였으나, 17세에 왕손인 인성군(조졸)을 낳고, 산후병으로 돌아가신 분의 능입니다.

 

세조가 정치적인 이유로 한명회의 딸을 며느리로 들였습니다만,  세조가 단종을 죽인 죄를 벌 받았는지, 며느리도 일찍 죽고, 아들인 예종도 일찍 세상을 뜨고  말았습니다.

 

<<< 자료는 문화재청 조선왕릉과 조선왕릉 디지털백과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 파주삼릉 공릉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입니다.

 

▼ 파주삼릉의 능배치 그림인데, 공릉의 위치를 표시하여 보았습니다

 

▼ 예종의 가계도입니다. 안순왕후의 슬하에 1남/1녀를 두었고, 예종이 승하 할때 제안대군이 왕위를 이어받을 1순위였으나, 할머니 정희왕후가 제안대군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한명회와 의논하여 예종의 형인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 잘산대군를 9대 국왕으로 추대하였으니, 그가 성종입니다. 그런데 잘산대군(성종)의 아내도 한명회의 넷째딸(막내딸)입니다. 한명회의 권력이 대단하였다는 것을 알게해주는 정치적 상황입니다.

 

 - 공릉의 구성

공릉은 조선 8대 예종의 첫 번째 왕비 장순왕후 한씨의 단릉이다. 왕세자빈의 신분에서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묘제의 형식에 맞게 조성하였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있는 향로는 직선축이 아닌 절선축으로 조성되었다.


능침은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였고 문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석양과 석호 1쌍씩 배치하였다. 조선전기 묘제의 형식에 맞게 조성하였기 때문에 망주석을 생략하였고, 봉분을 크게 조성하였다.

 

- 공릉의 역사

1461년(세조 7)에 장순왕후 한씨가 왕세자빈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 이듬해인 1462년(세조 8)에 파주 보시동(普施洞)인 현재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1470년(성종 1)에 장순왕후로 추존하고 능의 이름을 공릉이라 하였다.

 

- 장순왕후(章順王后) 이야기

장순왕후 한씨(재세 : 1445년 음력 1월 16일 ~ 1461년 음력 12월 5일)는 본관이 청주인 상당부원군 한명회와 황려부부인 민씨의 셋째 딸로 1445년(세종 27)에 사저에서 태어났다.

 

1460년(세조 6)에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고, 이듬해에 원손 인성대군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1461년(세조 7)에 안기(安耆)의 사저에서 17세로 세상을 떠났다. 세조는 세상을 떠난 왕세자빈에서 장순(章順)이라는 시호를 내렸고, 성종 즉위 후 1470년(성종 1)에 장순왕후로 추존되었다.

 

 

▼ 파주삼릉 재실에서 나와서 처음으로 들른 공릉의 홍살문 앞 입니다

 

▼ 홍살문 앞에 서면 느껴지는 마음은 산자가 죽은자의 세계로 들어 간다는 막연한 알 수 없는 마음이 든다는 것 입니다.

 

▼ 배위와 참도(향로,어로)의 상태가 너무 안좋습니다. 박석도 아니고, 그냥 돌맹이 수준의 돌들이 깔려 있는 것이 너무 보기 좋지 않았습니다.

 

▼ 향로와 어로의 상태가 나쁜데, 다음 복원때는 잘 되기를 바랍니다. 향로와 어로는 정자각 앞에서 꺾여서 들어갑니다.

 

▼ 향로중간에서 수라간과 정자각 사이의 능침을 바라봅니다.

 

▼ 복원된 수라간과 수복방을 담아보았습니다

 

▼ 정자각을 여러 각도에서 담아 보았습니다.

 

▼ 동계의 운계와 어계입니다.

 

▼ 동계의 운계(향계)의 소맷돌 문양은 구름 모습이 아니고 꽃모양의 문양입니다

 

▼ 장자각 앞에서 참도의 꺽여진 모습을 담아 보았습니다.

 

▼ 정자각의 정청뒷문에 이어진 신로는 사초지까지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다른릉에는 안 보이는 빗물이 빠지는 곳에 마감돌이 끼워져 있습니다.

 

▼ 사초지위의 능침은 안 보여서 자료사진을 참고로 올렷습니다

 

▼ 장순왕후가 세상을 뜰때 신분이 세자빈이어서 원의 능제로 꾸며져서 무석인, 난간석,망주석이 없이 문석인만 있습니다.

 

▼ 자료사진으로 보는 공릉 능침의 석물들의 모습입니다.

 

▼ 비각과 아래의 수복방입니다. 수복방이 아직 복원되지 않은 왕릉도 많이 있습니다.

 

▼ 비각안에 있는 표석의 앞/뒷면의 비문 참고사진과 비문의 내용을 설명한 안내판입니다. 

 

▼ 비문 앞면에는 총탄자국이 보이는데, 왕릉의 표석에 총탄자국이 보이는 표석도 많이 있습니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