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와 고려를 거쳐 발달된 은이나, 금으로 된 꾸미개는 부와 직위에 따라서 매우 화려하게 만들어졌으며, 지금의 기술로도 따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뛰어난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 자료는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상투를 고정시키는 금제동곳



아름다운 문화유산 , 고려의 꾸미개
꾸미개(장신구)란 몸치장에  쓰이는 모든 것을 일컫는 말 로,처음에는 자연의 재료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었으나 문명의 발전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 발전하였다.

삼한의 하나인 마한에서 구슬을 옷에 꿰거나 귀걸이,목걸이  등으로 사용한 기록이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보이고 있으며,삼국시대  이후 금속세공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머리꾸미개,귀걸이,목걸이,허리띠 장식 등 수준 높은 금속 공 예품이 많이 제작되어 전해져 오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몸 치장이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장신구는 점차 장식적, 주술적  기능을 넘어 부와 권력,그리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 내는 신분의 상징으로 발달하였다.

고려시대  꾸미개는 통일신라시대에  비해  많이  남아  있다
 - 한국상장회사협 의회 -



▼ 이 귀이개쪽을 머리에 꽂으면 나비와 방울장식이 훌륭한 머리뒤꽂이가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 귀이개의 목적은 본디 귀지를 파내기 위해서였으나 점차 본래의 용도 이외에 장식적인 성격을 가미하여 쪽진 머리에 덧꽂는 부녀자들의 머리 장식품(裝飾品)인 뒤꽂이로 겸용이 되었음을 이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다.

 

금으로 만든 나비문양의 장식과 두 개의 방울을 장식으로 단 이러한 금귀이개는 실제로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했다기보다 장식적인 경향이 강하며 신라의 귀족들만이 사용했던 장식품이었다._나무위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