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산성은 외성,중성,내성으로 축조가 되었는데, 외성은 강화도 동쪽의 강화해협을 따라서 축조되었고, 중성은 흔적만 있을뿐이며, 내성은 현재의 강화산성입니다. 강화군청 자료에서 보는 강화산성을 축조한 시대별로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1232년(고려 고종 19) 강화로 수도를 옮겼을 때 처음 성을 쌓았는데, 그 때는 지금보다 규모가 작았다. 조선 전기에 개축하였는데, 1637년 병자호란 때 청군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숙종 때 전면적으로 성을 보수하면서 동락천 건너 남산까지 포함시켜 크게 확대하였다.

 

북산, 남산, 견자산으로 이어진 포곡식 산성으로 둘레가 7,122m이다. 4개의 대문, 4개의 암문(暗門), 2개의 수문(水門)이 있고, 북산과 남산 정상에 관측소이자 지휘소인 북장대, 남장대가 있었다. 장인대(丈人臺)라고도 불린 남장대는 1745년(영조 21) 강화유수 황경원이 세웠는데, 2010년에 복원되었다.

 

 4대문 가운데 북문에는 원래 누각이 없었는데 1783년(정조 7) 강화유수 김노진이 누각을 올려 온전한 형태를 갖췄다고 한다. 남문은 1955년에 문루가 무너졌는데 1975년에 복원했고, 당시 국무총리였던 김종필이 ‘江都南門’ 편액을 썼다.

 

2003년 동문이 새로 세워지면서 모든 성문이 복원됐다. 동문은 망한루(望漢樓), 서문은 첨화루(瞻華樓), 남문은 안파루(晏波樓), 북문은 진송루(鎭松樓)이다. 성의 동쪽 부분은 많이 없어졌으나, 남쪽, 북쪽과 서쪽의 산자락 부분은 비교적 보존상태가 좋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이 들어왔고, 강화도 조약을 맺을 때 일본군이 들어오는 등 역사적 사건의 현장이었다

_강화군청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남산에 2010년 복원된 남장대(장인대_丈人臺)의 모습이며, 수원화성의 서장대 보다는 작지만 훌륭한 모습입니다.

 

▼ 강화산성를 한바퀴 둘러본 지도이며, 성곽을 따라서 걸어보았습니다. 서문에서 남장대->남문방향까지 1부로 만들어졌습니다


▼ 강화산성의 둘레길을 시작하는 서문인데 하필 요즘 공사가 많을때 와서 온전한 모습을 보지 못하였습니만, 옛날 자료사진이 있어서 크게 아쉬울 필요는 없었습니다.서문은 첨화루(瞻華樓)라는 원래의 명칭이 있습니다.서문에서 남쪽으로 성곽둘레길을 시작합니다.

 

▼ 서문 안쪽에 있는 연무당 옛터에 잠깐 들렸습니다.

 

▼ 군사들의 훈련터 였던 연무당은 일본인들의 강압에 의하여 강제로 조약이 체결된 장소였습니다.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면 실제로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약)이 체결된 장소는 연무당이 아니라 열무당(閱武堂)이라고 합니다.

 

▼ 사진에서 보면 서문 안쪽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사진만으로 연무당터를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 강화부 진무영내의 열무당에 대포를 설치하고 조선정부를 협박하는 일본군입니다

 

▼ PUB CHOSUN의 "김병헌의 다시 짚어보는 우리 역사"에서 보는 열무당의 사진이 인터넷에 떠도는 연무당 사진과 아주 유사한데, 실제로는 열무당을 연무당으로 혼동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중앙이 진무영의 열무당입니다_출처는 PUB CHOSUN입니다.

 

▼ 국림중앙박물관의 사진에서 연무당과 열무당의 사진을 비교하여 보았습니다.

 

▼ 연무당터에 설치된 안내판입니다. 다른 자료를 찾아보면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 곳은 연무당이 아니라 열무당이라고 합니다

 

▼ 강화도조약의 공식명칭은 조일수호조규(병자수호조약)이라고 합니다. 조약의 중요사항만 4가지로 요약하였는데,사실 일본이 전면에서 조약을 맺었지만 실제는 그뒤에 미국의 세세한 가르침이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첫째-조선은 부산,원산,인천 항구를 20개월 이내에 개항한다.
둘째-치외 법권을 인정,일본인의 범죄가 발생할 경우 일본인은 일본인의 법률에 의해서만 처벌된다.
셋째-조선의 연안 측량을 자유롭게 한다.

넷째-조선,일본 양국은 수시로 외교 사절을 파견,일본 화폐의 통용과 무관세 무역을 인정한다. 


▼ 연무당터에서 남장대 방향으로 보면 성곽은 아주 깔끔하게 복원되어 있고, 홍예가 3개로 된 수문이 보입니다.

 

▼ 이문이 석수문입니다. 자료에 보면 강화산성에는 석수문이 2개가 있었지만 지금은 서문근처의 석수문만 남았고, 남문근처의 석수문은 없어진 모양입니다.

 

▼ 참고로 19세기 그려진 강화부의 지도를 보면 서문 근처에 상수문(上水門), 남문 근처에 하수문(下水門)이 있었습니다. 지금의 강화읍내를 보면 하천이 안보이는데, 아마도 하수문은 복개를 해버린 모양입니다.

 

▼ 동락천을 건너서 보는 석수문 입니다.

▼ 참고사진으로 보는 석수문의 항공사진입니다.(출처는 강화군청)

 

▼ 도로 때문에 끊어진 성곽에서 서문을 바라봅니다.

 

연무당터에서 석수문를 건너서 바라보는 남장대 방향의 성곽이며, 산 중턱 부터는 복원되지 않고, 초목만 제거한 상태입니다

 

▼ 성곽 바깥쪽에서 성곽길을 따라서 올라가 봅니다

 

▼ 성곽이 복원되지 않은 능선을 따라서 올라갑니다. 이길은 강화도 나들길 코스로 초목들을 제거 해서 걷기는 좋은편입니다

 

▼ 성곽에서 돌아보는 서문 방향입니다.

 

▼ 민가에서 좀 멀리 떨어진 곳의 성곽은 대체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민가와 가까운 성곽이 많이 무너진 것은 아마도 민가에서 성돌을 빼내서 집을 짓거나, 수리 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

 

▼ 조금 더 올라와 돌아보니 저멀리 김포의 문수산과 한강하구가 보입니다

 

▼ 강화산성의 남장대 방향으로 가다보면 암문이 하나 있는데, 움푹 들러간 곳인데 사진으로도 안보이는곳에 있습니다

 

▼ 남장대 가는길에 만나는 암문입니다. 문은 암문형태로 잘 복원되어 있습니다.

 

▼ 남장대가 보인곳의 성곽입니다. 남장대 주변이라서 그런지 성곽의 복원은 어느정도 잘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 남장대 근처에서 보는 한강하구입니다. 한강하구 건너는 황해도 개풍군입니다. 원래는 조강(祖江)이라고하는데,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서 서해로 흐르는 강의 다른 이름이랍니다.

 

▼ 남장대에서 북쪽으로 바라보는 모습입니다. 보이는 저수지는 국화저수지입니다.

 

▼ 조강 건너 멀리 황해도 개풍군의 모습이 보이는데 참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다는 것으로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 아담하게 복원된 남장대의 모습입니다. 남장대가 원래의 저런 모습이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수원화성 서장대를 많이 참고하였을 수 도 있겠다 싶습니다.

 

▼ 수원화성의 서장대 보다는 좀 작게 보입니다

 

▼ 남장대에서 바라보는 강화대교의 방향입니다. 중앙에 보이는 산은 김포의 문수산입니다

 

▼ 남장대를 돌아서서 바라보며 내려갑니다.

 

▼ 남장대에서 남문 방향으로 내려가는 성곽입니다.

 

▼ 생각보다 성곽이 많이 무너지지는 않았습니다

 

▼ 강화읍내 건너서 보이는 김포의문수산입니다. 물론 문수산성이 있는 곳 입니다.

 

▼ 민가가 가까워질 수록 성곽의 상태 많이 안좋아집니다

 

▼ 복원한 성곽의 단면을 보게 되는데, 어느 정도 성돌을 쌓는 기법이 보이기는 하는데 완벽한 상태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이렇게 복원된 성곽은 남문까지 이어집니다.

 

▼ 남문도 어김없이 공사중입니다.

 

▼ 남문의 문루 밑을 지날때 올려보니 봉황 두마리의 모습입니다.

 

▼ 성곽이 복원된 남문의 성곽입니다.

 

▼ 남문 근처에 세워진 옛날사진 안내문인데, 1890년대의 사진이라는 안내문입니다. 남문의 다른 이름은 안파루(晏波樓)라고 하는데, 지금의 현판은 성 안쪽에 붙어 있는데, 1890년대는 바깥쪽에 붙어 있습니다.

 

▼ 또난 남문의 사진(일제강점기 추정) 인데, 강도남문(江都南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강도(江都)는 강화도의 옛지명입니다

 

▼ 남문을 하늘에서 찍은 사진을 여러장 올려 봅니다_출처는 강화군청입니다 .

 

▼ 안파루(晏波樓)라는 뜻은 물결이 늦게 오는 누각이라는 뜻으로 남문에서는 강화해안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그런 이름이 지어진듯 합니다.

 

▼ 자세히 보면 전면에 강도남문(江都南門)이라는 글씨가 보이는데 전 국무총리 김종필씨의 글씨라고 합니다. 자료에 보면 안파루(晏波樓)라는 글씨도 김종필씨가 쓴것이 아니고 강도남문(江都南門)이라는 글씨만 쓴것으로 나옵니다.

- 1부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