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이나 길가에서 청초한 꽃잎을 피우는 벌개미취는 개미취를 공원 식재용으로 개발한 꽃으로서 주로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6월에서 10월까지 꽃을 피우는데, 꽃대의 높이는 50㎝ ~ 60㎝ 정도입니다.

 

벌개미취는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꽃이어서 ‘KoreanDaisy(코리안데이지)’라는고유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쑥부쟁이와 닮았다고 해서 ‘고려쑥부쟁이’라고도 불립니다

 

너무 흔해서 벌판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 해서 벌개미취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하며,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예쁘게 잘 자라는 꽃입니다.

 

▼ 공원 한 쪽에서 자라고 있는 벌개미취입니다. 

 

※ 일반정보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분포 : 제주특별자치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계곡에서 자란다.
- 생육의 최적지는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이다. 토양과 기상 등 외부환경에 적응성이 뛰어나다.
- 전남, 경남 지리산 지역에서 경기. 강원 지역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산림이 안정된 지역에 자생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에서 왕성한 생육상을 보이는 것을 보아 중부지방 이하로는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랄 것으로 보아진다.

 

  생육형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50-60c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 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길이 4-5mm이다.

 

 
꽃은 6-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 나비 1.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혀꽃의 꽃부리는 길이 26mm, 나비 3.5-4mm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4mm, 너비 1.3mm정도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과모도 없다. 11월에 결실한다.

 

  줄기
높이는 50-60cm으로 곧게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뿌리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적갈색으로 굵고 단단하며 10cm정도로 짧다. 잔뿌리가 많이 나고 일종의 냄새가 난다.

 

  번식방법 :  벌개미취는 실생과 분주로 번식하는 방법이 있다.

 

  재배특성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으나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습지는 물론 건조한 환경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왕성하게 한다. 높은 비옥도를 요구하지 않은 야생화이다. 그러나 토양이 비옥하면 꽃대도 충실하고 꽃의 색도 좋기 때문에 가급적 금비를 주는 것보다 기비로 완숙된 퇴비를 충분히 주는 것이 좋다. 

▣ 보호방안 : 인공 증식이 용이한 식물이므로 대량으로 증식하여 경제작물로 널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특징 :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 병해충정보 : 재배시 크게 문제가 되는 병충해는 거의 없다. 간혹 진딧물이 발생할 수 있다.

 

 

▼ 개미취를 구분하는 방법은 일단, 꽃잎이 길면, 벌개미취, 키가 크고 주로 쓰러져 있으면 개미취, 전체적으로 키가 작으면 좀개미취로 구분합니다.

- 끝 -

'▣ 마음으로 가는길 > 들꽃과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들(꽃말은 순종)  (0) 2023.10.08
백일홍(인연)  (0) 2023.10.07
마타리(미인, 무한한 사랑)  (0) 2023.10.06
강아지풀(동심과 노여움)  (0) 2023.10.02
가을을 부르는 꽃무릇  (0) 2023.10.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