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서오릉에는 조선 19대 숙종과 1계비 인현왕후, 2계비 인원왕후가 잠들어 있는 명릉(明陵)이 있습니다. 릉의 형식은 동원이강릉으로 숙종과 인현왕후는 쌍릉으로, 인원왕후는 단릉으로 되어 있습니다. 숙종의 원비는 인경왕후인데, 조금 윗쪽의 익릉에 홀로 잠들어 있습니다.
<<< 자료는 문화재청 조선왕릉과 조선왕릉 디지털백과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 명릉은 서오릉의 매표소 입구에서 첫번째로 만나는 왕릉입니다. 아래 그림지도에 네모로 표시하였습니다. 릉의 그림을 보면 숙종과 인현왕후는 쌍릉으로 되어 있고, 인원왕후는 조금 떨어져서 단릉으로 되어 있습니다.
▼ 숙종은 18대 현종의 외아들로 14세에 즉위하였으며, 60세 까지 약 45년간 왕위에 있었습니다. 왕위에 있으면서 여러 후궁들이 있었지만, 우리가 많이 들었던 희빈장씨도 있습니다. 희빈장씨는 20대 경종의 생모입니다.
제19대 숙종 · 인현왕후 · 인원왕후 명릉(明陵)
- 능의 구성
명릉은 조선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와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명릉은 같은 능역 안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고 서로 다른 언덕에 쌍릉과 단릉으로 능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 언덕이 숙종과 인현왕후의 쌍릉이고 왼쪽 언덕이 인원왕후의 단릉이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향로와 어로 양 옆에는 변로를 깔아 놓아 겉으로 봤을 때 4개의 길로 보인다. 비각 안에는 2개의 능표석이 있는데, 하나는 숙종과 인현왕후의 능표석이고 또 하나는 인원왕후의 능표석이다. 능침은 모두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 등을 배치하였다. 특히 숙종의 명으로 능역에 드는 인력과 경비를 감소하기 위하여 석물치수를 줄였다. 대표적으로 8각 장명등이 4각 장명등으로 바뀌었다.
- 능의 역사
1701년(숙종 27)에 인현왕후 민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릉에 제일 처음으로 능을 조성하였다. 숙종은 인현왕후의 능을 공사할 때 허우(虛右, 오른쪽 자리를 비우게 함)제도로 공사하여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만들었다. 이후 1720년(숙종 45)에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인현왕후의 능 옆으로 능을 조성하여 쌍릉의 형식을 이루었다. 명릉을 조성한지 37년이 지난 후 1757년(영조 33)에 인원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났다.
인원왕후는 생전에 명릉에서 400여보 떨어진 곳에 미리 묻힐 자리를 정하였으나, 영조는 새로 산릉공사를 해야 하는 것(당시 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홍릉을 공사하고 있던 상황)을 염려하여 명릉 서쪽 언덕에 자리를 선정하고 필요한 인력과 국고를 줄여 산릉공사의 부담을 덜었다.
사료가 밝히는 사실과는 거리가 있지만, 숙종의 능이 이곳으로 정해진 연유와 관련한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숙종이 하루는 평상복을 입고 민심을 살피기 위해 궐을 벗어나 어느 냇가를 지나가고 있었다. 그 때 냇가에서 한 젊은이가 울고 있는 것이 보여 연유를 물으니, 갈처사라는 유명한 지관이 이곳에 무덤을 쓰면 좋다고 해서 땅을 파는데, 아무리 파도 물이 고이니 어쩔 줄을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숙종은 그 지관이 장난을 쳤다고 여기고, 젊은이를 불쌍히 여겨 관청에 가서 쌀 300석을 받아올 수 있도록 적은 서신을 쥐어주었다. 그리고는 지관이 살고 있는 허름한 오두막집을 찾아가 청년의 일을 따져 물었다. 그러자 지관은 “모르면 잠자코 계시오. 저 땅은 무덤자리로 들어가기도 전에 쌀 300석을 받고 명당자리로 들어가는 자리라오!”라며 따져 묻는 숙종에게 오히려 핀잔을 주었다. 그의 신통함에 놀라 자신이 국왕인 것을 밝히고, 훗날 숙종이 묻힐 묘자리를 골라달라고 부탁하였다. 전해지는 일화에 따르면, 지금의 명릉 자리가 바로 신통한 지관 갈처사가 택한 입지라고 한다.
- 숙종(肅宗) 이야기
숙종(재세 : 1661년 음력 8월 15일 ~ 1720년 음력 6월 8일, 재위 : 1674년 음력 8월 23일 ~ 1720년 음력 6월 8일)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아들로 1661년(현종 2)에 경덕궁 회상전에서 태어나, 1667년(현종 8)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674년에 14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14살의 어린나이로 왕위에 올랐으나 총명하고 영특하여 수렴청정을 받지 않았다. 재위기간 동안 1680년에 경신환국(유악(油幄) 사건으로 남인에서 서인으로 정권 교체), 1689년에 기사환국(경종 탄생으로 원자칭호 문제로 서인에서 남인으로 정권 교체), 1694년에 갑술환국(인현왕후 복위 문제로 남인에서 서인으로 정권 교체)으로 서인과 남인 정권을 이용하여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였고, 전국적인 대동법(大同法) 실시와 양전(量田)의 실시, 화폐주전을 통용하는 등 경제정책에 전력을 다하였다. 1712년(숙종 38)에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국경선을 확정 시켰고, 2대 정종의 묘호 추숭과 단종과 정순왕후의 복위, 소현세자빈 강씨를 복위, 『선원록』 작성 등 왕실의 기강을 확립하였다. 그 후 1720년(숙종 45)에 경덕궁 융복전에서 60세로 세상을 떠났다.
- 인현왕후(仁顯王后) 이야기
숙종의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재세 : 1667년 음력 4월 23일 ~ 1701년 음력 8월 14일)는 본관이 여흥인 여양부원군 민유중과 은성부부인 송씨의 딸로 1667년(현종 8)에 반송동 사저에서 태어났다. 숙종의 첫 번째 왕비가 세상을 떠나자 1681년(숙종 7)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당시 조정은 당파간의 분쟁이 한참이었는데, 왕실의 여인들이 중심이 되어 암투가 벌어졌던 상황으로, 1689년(숙종 15)에 숙종의 후궁 장씨가 왕자(경종)를 낳자 원자(元子) 책봉 문제로 서인과 남인이 대립이 있었다. 이 일로 기사환국이 발생되어 남인 정권이 들어서자 왕비의 자리에서 폐위되어 출궁되었다. 하지만 1694년(숙종 20)에 복위운동문제로 갑술환국이 발생되면서 서인 정권이 다시 들어서자 왕비로 복위되었다.
이 때 나온 소설이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라는 소설이다.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이 그의 말년에 유배지에서 쓴 한글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 사씨는 성품이 곱고 후덕한 인물이지만, 남편 유연수의 교활한 첩 교씨의 모함을 받아 결국 내쫓김을 당하게 된다. 유연수의 첩 교씨가 아들을 낳은 후 정실부인이 되기 위해 갖은 계략을 꾸미며 그녀를 몰아낸 것이다. 소설은 한림학사 유연수의 처 사씨의 바른 품행과 그녀를 시기하는 악한 첩 교씨가 그녀를 음해하기 위해 꾸미는 악행들, 그리고 소설 끝에 가서는 누명을 썼던 사씨가 귀양지에서 돌아오고 악행이 들통난 교씨는 처형당하는 권선징악 구조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는 숙종의 인현왕후 폐위 사건을 모델로 당대의 현실을 소설화한 것으로 서인이었던 김만중은 이 소설로서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것이 부당함을 밝히는 의도로 지었으나, 끝내 인현왕후가 복위되는 것을 보지 못한 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 후 1701년(숙종 27)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35세로 세상을 떠났다. 인현왕후가 세상을 떠난 후 희빈 장씨가 인현왕후를 저주한 죄가 들어나 무고의 옥(신사옥사)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 인원왕후(仁元王后) 이야기
숙종의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씨(재세 : 1687년 음력 9월 29일 ~ 1757년 음력 3월 26일)는 본관이 경주인 경은부원군 김주신과 가림부부인 조씨의 딸로 1687년(숙종 13)에 순화방 사저 양정재에서 태어났다. 숙종의 두 번째 왕비가 세상을 떠나자 1702년(숙종 28)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왕비로 있을 때 천연두와 홍역을 앓아 위기를 넘기기도 하였다. 1720년에 경종이 왕위에 오르자 왕대비가 되었으며, 1721년(경종 1)에 연잉군(영조)을 왕세제로 책봉시키고 양자로 입적하였다. 경종 연간에 있었던 노론과 소론의 대립인 신축임인옥사(신임옥사)에서 생명의 위협을 받은 영조를 끝까지 보호해주었으며, 1724년에 영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왕대비가 되었다. 그 후 1757년(영조 33)에 창덕궁 영모당에서 71세로 세상을 떠났다.
인원왕후가 궁중 생활을 기록하여 엮은 『선군유사(先君遺事)』와 『선비유사(先비遺事)』가 세간에 소개되었다. 선군유사는 아버지에 관한 회상, 『선비유사』는 어머니에 관한 회상을 말한다. 『선비유사』에서 그녀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궁 안에 머무르시면 새벽에 일어나시어 문 밖에 오셔서 내가 잠에서 깨기를 기다리시고 내가 청하여 “누운 자리에 들어오소서.” 하면 “황송 하노라.” 사양하시고, 내가 청하여 자리를 한 가지로 하고자 하면 반드시 머뭇거려 사양하셨다. 이 두 권의 기록에서 인원왕후는 궁에 들어와 부모님을 그리는 마음과, 중전으로서 부모님과 사사로운 정을 나눌 수 없음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다. 『선군유사』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보인다. 15세에 이르되 항상 무릎에 두시고 이마를 어루만져 잠깐도 버려두지 않으시더니 내가 이 지위에 오르자 …… 내가 그 좌석이 너무 멂이 민망하여 가까이 옮겨가고자 하면 아버지께서는 종종걸음으로 물러나 사양하셔서 내가 감히 사사로운 정을 펴지 못했다. 훗날 인원왕후는 이 기록을 친정으로 보내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도록 하였다. 이 두 권의 문집과 더불어 발견된 세 권의 문집은 인원왕후가 노년에 썼을 가능성이 높으며, 단아하고도 기품 있는 글솜씨가 당시 그녀의 학문과 독서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 서오릉의 왕릉역사문화관을 지나갑니다. 서오릉은 넓어서 그런지 주위 시민들이 많이 오셔서 숲길 산책을 하는 좋은 곳입니다
▼ 숙종과 인현왕후, 인원왕후가 잠들어 있는 명릉의 안내문입니다. 숙종은 임진왜란에서 방어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여 평지인 읍성에서의 방어 개념을 버리고 조선에 산성을 많이 쌓도록 하였는데, 대략 400여개의 산성을 쌓았다고 합니다.
▼ 명릉의 수복방은 복원공사중입니다. 멀리 정자각 왼쪽이 인원왕후 능침입니다. 왼쪽의 수라간은 아직 복원되지 않았습니다.
▼ 명릉의 정자각의 여러 모습들을 담아서 올렸습니다
▼ 정자각의 동쪽에 있는 동계의 운계는 소맷돌 문양이 구름이 아니고, 꽃잎문양으로 보입니다.
▼ 숙종과 인현왕의 능침입니다. 앞에서 봤을때 숙종이 왼쪽, 인현왕후가 오른쪽입니다.
▼ 명릉에서 숙종과 인현왕후가 잠들어 있는 능침의 자료사진들을 모아서 꾸며 보았습니다.
▼ 망주석의 옆에는 세호가 달려 있는데, 왼쪽의 망주석 세호는 내려가고, 오른쪽 망주석 세호는 올라 가는 자세 입니다. 가운데 장명등은 사각모양으로 그렇게 화려하게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릉은 화려하게 8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보는데, 숙종은 석물의 가공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라고 해서 8각면이 아닌 4각면으로 하였다고 합니다.
▼ 명릉의 숙종/인현왕후의 문석인, 무석인, 석마의 대표사진 입니다. 가공 솜씨는 언제 봐도 대단한 예술작품입니다
▼ 능침의 봉분주위에는 곡장을 바라보며 봉분을 지키는 석양과 석호의 석물들이 있는데, 모양의 다름은 각각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 봉분의 석호 얼굴모습을 보면 석공의 재치가 보입니다. 렁을 지키는 호랑치 치고는 너무 인자한 모습입니다.
▼ 다음은 홀로 잠들어 있는 인원왕후의 능침입니다.
▼ 숙종과 인현왕후의 능침 석물과는 대략 비숫합니다.
▼ 인원왕후 릉의 무석인과 문석인 입니다. 각각 석마가 한마리씩 옆에 서 있습니다. 숙종의 능침 석물들 보다는 석공의 솜씨가 조금은 뒤떨어져 보입니다.
▼ 보통 예감를 보면 옆에 구멍이 있는데 무슨 용도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비각안에는 2개의 표석이 있습니다.
▼ 숙종과 인워현왕후의 표석입니다. 자료사진에서 앞/뒤의 비문을 참조하였습니디.
▼ 인원왕후의 표석인데 뒷면의 자료사진은 못 구했습니다.
▼ 참고로 숙종의 후궁이었던 영빈 김씨의 묘인 영빈묘(寧嬪墓)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빈묘는 남양주에 있습니다. 숙종과의 사이에 소생이 없었습니다.
제19대 숙종 후궁 영빈묘(寧嬪墓)
- 위치 :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175
- 묘의 형식 : 단분
- 묘의 조성 : 1735년(영조 11)
- 영빈묘의 구성
영빈묘는 조선 19대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문석인, 장명등, 상석, 혼유석, 망주석이 배치되어 있고, 봉분은 호석으로 둘러져 있다. 봉분 앞에는 묘표석이 세워졌으며 전면에는 ‘유명조선국 영빈안동김씨지묘’라 써있다.
- 영빈묘의 역사
1735년(영조 11) 음력 1월 12일에 영빈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같은 해 음력 3월 14일에 현재의 자리에 묘소를 조성하였다.
- 영빈 김씨(寧嬪 金氏) 이야기
영빈 김씨(재세 : 1669년 ~ 1735년 음력 1월 12일)는 본관이 안동인 김창국의 딸로 1669년(현종 10)에 태어나, 1686년(숙종 12)에 숙의(淑儀)로 간택되었다. 이후 소의를 거쳐 귀인(貴人)이 되었는데, 1689년에 기사환국으로 희빈 장씨의 모함을 받아 폐출되었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재입궁하여 작위가 회복되었으며, 인현왕후 사후 1702년에 영빈(寧嬪)에 책봉되었다. 그 후 1735년(영조 11)에 67세로 세상을 떠났다.
[ 유명조선국 영동안빈김씨지묘]
- 끝 -
'▣ 역사.문화재.사찰 > 왕릉.태실.원.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 서오릉(5부)-홍릉(弘陵)-영조 원비 정성왕후[단릉] (0) | 2018.11.24 |
---|---|
고양 서오릉(4부)-익릉(翼陵)-숙종 원비 인경왕후[단릉] (0) | 2018.11.24 |
고양 서오릉(2부)-경릉(敬陵)-제9대 성종 부친 덕종.소혜왕후[동원이강릉] (0) | 2018.11.24 |
고양 서오릉(1부)-창릉(昌陵)-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동원이강릉] (0) | 2018.11.22 |
고양 서삼릉(5부)-회묘,후궁,왕자,왕녀묘,소경원, 영회원 (0) | 2018.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