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공군 보급장교로 근무했던 진 굴드[Gene Gould]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1월에 내한해서 다음해 6월까지 머무르며 수원과 인연을 맺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반세기가 지난 2005년 미국 오리건주에 거주하던 진굴드는 한국전쟁 때 함께 일했던 한국인을 찾고 싶다며 당시 수원 사진들을 지역신문인 경기일보에 보내어 게재하였다. 이를 본 수원시에서 진 굴드의 한국 지인을 통해 연락하여 희귀 사진 108점을 확보하였다. 이 사진들은 미공군 제8비행대대에 근무했던 진 굴드가 당시에도 귀했던 35mm 코다크롬 필름으로 찍은 것이다. 1952~1953년의 수원과 인근 지역 안녕리 용주사 일대의 다양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마을 풍경과 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에서 아련함과 따스함을 느낄 수 있다.
- 내용과 사진은 수원박물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 팔달문 앞 미완성 도로[1953년 | 수원박물관]
팔달문 옹성의 철(凸)형 여장과 홍예문은 1913년 이후 일제가 철거했으며 이후 팔달문 좌우의 적대(敵臺)와 성벽도 헐어버렸다. 아직 도로가 정비되기 전 팔달로의 모습이다.
▼ 미공군 소위 진 굴드[1953년 | 수원박물관]
진 굴드는 1952년 11월부터 1953년 6월까지 한국에서 근무하였다.
▼ 장안문 앞 도로의 진 굴드[1953년 | 수원박물관]
진 굴드의 뒤에는 농지에서 두엄내기를 하는 농부가 보이고, 멀리 연무대 지붕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가 서있는 곳은 장안문 밖 도로이다. 진 굴드 사진에는 그가 기록한 영문이 남아있다.
▼ 장안문 밖 서울로 향하는 1번국도[1953년 | 수원박물관]
장안문은 한국전쟁 당시 포격으로 인해 중층문루가 무너졌다. 장안문 누각은 사라졌지만 옹성 문루는 잔존해 있다. 사진 우측에는 북서포루(北西砲樓)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수원역 앞에서 휴식 중인 미군들[1953년 | 수원박물관]
이동 중인 미군들이 군장과 더블백을 내려놓은 채 수원역사 앞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수원역 건물은 1928년 일제가 조선식으로 지은 것인데, 한국전쟁 당시 폭격으로 기와지붕이 모두 사라진 모습이다.
▼ 팔달문 서쪽 측면[1953년 | 수원박물관]
팔달문 양옆의 성곽은 일제강점기에 모두 사라졌다. 일제가 팔달문 동쪽의 남공심돈 일대와 팔달문 서쪽 성벽 구간을 헐어버렸기 때문이다. 성벽이 있어야 할 자리에 민가가 자리 잡고 있다.
▼ 세류동 피난민촌[1952년 | 수원박물관]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수원화성 및 수원천을 비롯해서 수원 곳곳에 피난민촌이 형성되었다. ‘연무동 공설운동장터’와 ‘세류동 일대’가 대표적인 정착촌이었다.
▼ 용주사 대웅보전[1953년 | 수원박물관]
용주사는 정조가 1789년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화산으로 옮겨 현륭원으로 조성한 후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1790년에 창건한 왕실 원찰이다. 용주사의 대웅보전내부에 봉안되어 있는 삼세여래후불탱화(三世如來後佛幁畵)는 조선후기 화원인 단원 김홍도의 작품이다.
▼ 융릉 앞 영문으로 쓰여진 경고문[1953년 | 수원박물관]
사도세자의 무덤 융릉의 홍살문 앞에 영문으로 된 경고문이 있다. 경고문에는 무기류를 휴대하고 들어갈 수 없다고 적혀있다.
▼ 융릉 앞의 진 굴드[1953년 | 수원박물관]
융릉 입구에 무기를 소지할 수 없다는 경고판이 있었으나 전시였기 때문에 권총을 소지한 채 사진을 찍었다.
▼ 융릉 비각[1953년 | 수원박물관]
비(碑)를 안치하기 위해 세운 건물인 비각은 가로(街路)상에 설치하기도 하고 사찰이나 능묘(陵墓)에도 건립했다.
▼ 화성애육원[1953년 | 수원박물관]
전쟁의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는 전쟁고아일 것이다. 한국전쟁 중 수원비행장 인근에 화성애육원을 비롯한 3개의 고아원이 운영되었다. 진 굴드는 고아원의 어린이들을 위하여 자신의 고향인 미국 오리건주 사람들로부터 수집한 옷가지 등의 구호품을 전달하였다.
▼ 화성애육원의 선물[1953년 | 수원박물관]
화성애육원에서 진 굴드에게 준 선물이다. 진 굴드는 애육원 아이들에 대한 지원을 많이 했기 때문에 애육원 측에서 탄피로 만든 밥그릇과 수저세트를 선물하여 감사의 뜻을 전달한 것이다.
▼ 안녕리(화성시) 김후봉[1953년 | 수원박물관]
진 굴드는 화성시 안녕리에 사는 김후봉의 사진과 직접 그린 그림을 남겼다. 그는 자신이 촬영한 사진 속 몇몇의 한국인을 그리며 남다른 애정을 표시했다.
앞의 사진 외에도 또 다른 이방인들이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찍은 사진들이 슬라이드 필름과 인화된 사진으로 남아있다. 사진 뒷면에 그들이 기록한 영문 설명을 통해 수원화성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사진들은 본격적으로 복원되기 이전의 수원화성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호주인 선교사 매혜란(Helen P. Mackenzie, 1913~2009) 이 찍은 장안문 앞 사진은 전쟁 속의 수원화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하늘에서 찍은 항공사진을 통해 수원시의 전경도 살펴볼 수 있다.
- 사진 및 내용은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 봉돈 위의 미군[1961년 5월]
▼ 범람한 수원천변에서 빨래하는 사람들[1950년대]
사진 뒷면의 영문 기록대로 범람한 수원천변에 나와 여인들이 빨래하는 장면으로 군용 트럭 안에서 촬영한 듯하다. 건너편 천변 가까이 늘어선 판자촌이 눈에 띈다.
▼ 수원에 입성한 미군과 팔달문[1950년 9월 22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서울과 인접한 수원은 큰 피해를 입었다.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후 9월 21일 미군 제7사단 정찰대가 마침내 수원에 입성하였다. 팔달문 앞에 미군들이 수원시민들과 섞여 있고, 팔달식당 앞의 전봇대에는 ‘大韓民國萬歲’라는 글씨가 보인다. 사진 뒷면에 미군 제7사단의 수원입성 관련 내용과 미 육군 상병 다니엘 톰킨스(Daniel Tompkins)가 사진을 찍었다는 영문 기록이 남아있다.
▼ 재정비하는 팔달문 밖 거리[1950년대 초]
옆의 사진과는 달리 팔달문 앞의 가옥과 상가가 사라지고 길폭이 확장되었다. 길가의 전신주를 인부들이 정비하고 있다. 사진 뒷면에 ‘INNER GATE TO Town on inside’라는 영문 기록이 있다.
▼ 중층문루가 반파된 장안문[1950년]
미 제5공군이 접수한 수원비행장은 연합군의 수송과 보급기지였으며, 폭격기부대의 발진기지로도 활용되었다. 개전 초기에 폭격을 맞은 장안문은 수원화성의 북문이자 서울로 향하는 관문으로 이후 탈환과 재탈환 과정 속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이다.
▼ 격전지 속의 장안문[1952년 4월경 | 부산 일신기독병원·경기대학교박물관 제공]
호주인 선교사로 부산 일신기독병원의 설립자인 매혜란(Helen P. Mackenzie, 1913~2009)이 한국전쟁 중 부산에서 출발하여 전라도와 충청도를 거쳐 서울로 이동하면서 구호활동을 하던 중 찍은 사진이다. 장안문 앞에 파괴된 인민군의 소련제 T-34 전차가 버려져 있다.
▼ 중층문루가 날아간 장안문[1952년 4월경 | 부산 일신기독병원·경기대학교박물관 제공]
호주 선교사인 매혜란이 장안문의 안쪽에서 찍은 사진이다. 홍예문과 문루가 완전히 사라진 장안문에서 전쟁의 참상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 미군 트럭이 들어 오는 팔달문[1950년대]
팔달문을 통해 성안으로 들어오려는 미군트럭에 군인이 경례하고 있다. 군인의 철모에 ‘MP’라고 쓰여 있어 미군 헌병으로 짐작된다.
▼ 무너진 옹성벽에 수풀이 무성한 팔달문[1950년대 초]
수원이나 오산비행장에서 근무하던 군인들이 수원을 찾을 때 먼저 만나는 문은 팔달문이었다. 정문 앞에 세워둔 돌기둥과 오른쪽으로 돌아가라는 영문의 표지판으로 보아 사람들은 정문을 통과하고 차량은 로터리를 돌아가도록 한 것을 알 수 있다.
▼ 분주한 팔달문 밖 거리[1955년 3월]
팔달문 앞 대로를 활보하는 사람들과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 손수레를 끄는 사람들 틈으로 미군 트럭과 자동차도 바삐 움직이며 분주한 거리 풍경을 자아낸다. 오른편에 시외로 드나드는 버스정류장이 이곳이 수원의 중심지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 중동사거리에서 팔달문을 배경으로[1955년 3월]
중동사거리에서 팔달문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을 한 미군장교 옆의 입간판 내용이 당시 시대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 방화수류정과 화홍문[1950년대]
수원화성에서 절경으로 꼽히는 방화수류정과 화홍문의 풍경이다. 화홍문 수문 앞에서 옹기종기 모여 노는 아이들을 뒤로 하고 이방인을 응시하는 팔짱을 낀 아이가 인상적이다. 지대가 높아 바람이 시원한 방화수류정에는 더위를 피하려는 사람들로 가득하다.
▼ 화홍문 앞 과일을 파는 노인[1958년 7월]
화홍문 앞에서 과일 노점의 상인과 마치 흥정이라도 하는듯 이방인의 미소가 흥미롭다. 수원화성의 명소로 유명한 화홍문은 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는 곳이므로 그 앞에 늘 노점상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 성문 위의 이방인[1958년 7월
미군 일행과 함께 온 백인 여성의 모습으로 수원화성을 돌아보며 낯선 땅의 고적(古跡)에서 한 컷의 사진을 남겼다.
▼ 북암문 쪽에서 바라본 마을 풍경[1958년 7월]
수원화성의 여름 풍경으로 성벽 주변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다. 멀리 문루가 파괴되고 성문만 남은 창룡문도 눈에 들어온다. 이방인에게는 연을 날리고 있는 아이들이 신기하고, 아이들에게는 카메라를 든 이방인이 신기했다.
▼ 하늘에서 내려다 본 수원화성[1950년대 추정]
수원화성의 성곽 전체 모습과 성 안팎의 마을을 조망할 수 있는 보기 드문 항공사진이다. 1796년 완공된 수원화성의 모습이 뚜렷이 남아 있으나, 장안문과 창룡문의 문루가 없어 한국전쟁 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하늘에서 내려다본 수원역 앞 시가지[1950년대 추정]
1905년 경부선 철도개통과 함께 조성된 수원역 인근을 촬영한 항공사진이다. 수원역은 1905년 1월에 영업을 개시한 후 수원의 물자와 인력 이동 수단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는 수원의 상권 판도를 크게 변화시켰으며, 수원역과 기존의 성내 번화가를 잇는 신작로의 개설로 인한 수원의 시가지 확장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수원역사는 1928년 조선식으로 개축하기도 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때 역사가 전소되었다. 수원역사의 모습을 볼 때 이 사진은 한국전쟁 후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 끝 -
'▣ 마음으로 가는길 > 수원의 옛날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의 옛날사진(13)-1950년대~1960년대의 수원 (0) | 2019.05.01 |
---|---|
수원의 옛날사진[12]-미군(美軍)이 본 수원화성(3부) (0) | 2019.04.20 |
수원의 옛날사진[10]-미군(美軍)이 본 수원화성(1부) (0) | 2019.04.19 |
수원의 옛날사진[9]-수원(사카이마사노스케) (0) | 2019.04.17 |
수원의 옛날사진(8)-발전하는 수원(사카이마사노스케)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