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德壽宮)은 1897년에 선포된 황제국,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옛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입니다.

 

덕수궁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월산대군(성종의 형) 저택과 그 주변 민가를 여러 채 합하여 ‘시어소((所;왕의 임시거처)’로 정하여 행궁[정릉동 행궁]으로 삼았던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광해군이 즉위한 후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운궁’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궐의 모습을 갖춘 덕수궁은 인목대비 유폐와 인조반정을 겪으면서 규모가 축소되었고, 특히 인조가 즉위한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게 되면서 덕수궁은 더 이상 왕이 공식적으로 머물며 국정업무를 보던 궁궐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난 이후 덕수궁이 다시 역사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후, 1897년 2월에 경운궁으로 환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을 선포한 후 황궁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게 되었지만 1904년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경운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1907년 순종이 즉위하고 창덕궁으로 거처를 옯기면서 홀로 있는 고종을 위해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 또한 바뀌게 되었습니다.

-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인용하였습니다

 

▼ 덕수궁의 현재 건물들의 위치를 표시하였으며, 현재 궐밖의 음영으로 표시된 지역은 1910년 당시의 궁역을 표시하였습니다. 대한문 앞의 지금 서울시청 광장이 1910년대에는 궁역이었다는 것입니다.

 

▼ 대한문을 지나면 금천교가 나오는데 아주 볼품이 없습니다. 일제에 의해 잘려나가고, 피헤쳐진 신세만큼이나, 초라한 모습입니다. 대한문과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데, 이는 대한문이 원래의 위치보다 뒤로 물러남에 따라서 자연히 금천교와 가까워졌습니다.

 

▼ 원래 경운궁(덕수궁)의 정문은 남쪽으로 지어진 인화문(仁化門)었으며, 지금의 대한문(대안문)은 동쪽에 있는 동문이었는데, 1900년대에  대안문 앞으로 대로가 생기고 당시 정문인 인화문 통행이 줄어들자 1904년의 덕수궁 화재 후인 1906년에 대안문을 수리하면서 정문으로 삼고 이름도 대한문(大漢門)으로 바꿨습니다.

 

그래서 5대궁궐 정문의 이름이 덕수궁만 대한문이 되었으며, 니머지 궁궐의 정문은 전부 화(化)자 들어간 상태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즉 광화문(경복궁), 돈화문(창덕궁), 흥화문(경희궁), 흥화문(창경궁)입니다.


▼ 대한문 바로 옆에 매점이 보이는데, 예전에는 궁의 일부 건물이었던 것 처럼 보입니다.

 

▼ 덕수궁은 대체로 복원 하다만 궁궐처럼 좀 허전한 느낌의 궁궐입니다. 지금 이 행랑은 행각에 연결되어 있어야 할 건물인데 홀로 외로이 쉬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 1902년 건립된 중화전의 정문으로, 1904년 대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새로 복원된 건물이며, 문 좌/우로 행각이 있었습니다

 

▼ 문 가운데의 답도(왕만이 가마로 타고 지나는 길)의 모습입니다

 

▼ 중화문에서 바라보는 중화전입니다. 원래는 2층 건물이었는데, 화재후 복원하면서 단층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 1897년 러시아 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환궁한 고종은 즉조당을 정전으로 사용하였으나, 협소하여 1902년 새로운 정전으로 중화전을 지었습니다. 본래는 2층으로 된 건물이었으나, 1904년 4월 대화재로 소실된후 현재의 단층 건물로 만들었습니다.

 

▼ 중화전 뒤로 보이는 이층 건물은 석어당입니다.

 

▼ 중화당에서 보는 향로 인데, 궁궐의 정전앞의 월대 좌/우로 2개의 향로는 나라의 큰 행사때 의례용으로 향을 피우던 청동향로이며,하월대의 드므는 정전인 중화전 처마 4귀퉁이 마다 설치하여 놓고 물을 채워 놓았으며, 화마(火魔)가 물에 비치는 자기의 흉악한 모습을 보고 놀래서 도망가게끔 한다는 상징적인 물통입니다. 

 

▼ 답도에는 해태모양의 석상입니다. 모든 궁궐의 답도에는 빠짐없이 설치되어 있어서 왕의 존엄함을 표시하는 장식물인듯 합니다

 

▼ 덕수궁의 중화전 답도(踏道)에는 다른 궁과는 다르게 용이 2마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지위를 뜻하는 용을 새겨 놓은 것 입니다. 다른 궁의 답도(踏道) 모두 봉황이 새겨져 있습니다.

 

▼ 중화(中和)는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라는 뜻이 있는 중화전입니다.

 

▼ 덕수궁에는 다른궁과 확실히 다른게 하나 있습니다. 다른 궁에는 답도나 정전 천장에 봉황을 새기거나 봉황을 조각하여 놓는데 반해서 덕수궁에는 전부 용을 새기거나, 조각하였다는 것 입니다. 고종이 독립된 국가로서,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나서 중화문과 중화전을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 향로는 중화전 앞의 좌/우로 하나씩 배치하였으며, 나라 행사때 향을 피우기도 했습니다. 향로에는 뚜껑이 있었는데, 일제를 거쳐 한국전쟁중에 없어졌다고 합니다만, 옛날 사진에는 뚜껑이 있습니다.

 

▼ 중화전에서 바라보는 중화문입니다. 중화문 좌우로 행각이 없어서 인지 중화문의 무게감이 떨어지고 외롭게 서 있는 것 이 보기에도 안 좋습니다.

 

▼ 중화전 뒤로는 준명당(좌)과 즉조당(우)이 있는데, 쌍둥이 건물처럼 보입니다. 오른쪽의 즉조당(卽祚堂)은  고종이 아관파천후에 경운궁에 오면서 부터 정전(殿)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었으며, 준명당은 고종때 만들어졌으며, 주로 신하나, 외국사신들을 접견하며, 침전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덕수궁에는 황후의 침전이 없는데, 이는 명성황후가 시해 당한 후에 고종이 황후 없이 후궁들과 살았기 때문입니다.

 

 

▼ 준명당옆의 석조전 입니다. 준명당은 고종이 덕혜옹주의 교육을 위해서 최초의 유치원을 만든 곳 입니다. 

 

▼ 단청이 화려한 즉조당은 15대 광해군과 16대 인조가 즉위 하였던 장소였는데, 인조반정후에 즉조당이라고 하였으며, 태극당, 중화당으로 불리다가 새로운 정전이 2층 건물로 건물이 완성되자 중화전으로 이름을 물려 주고, 다시 즉조당으로 바뀌었습니다.

 

▼ 준명당의 문틀을 들어 올려 매달아 놓은 것을 자세히 담아 보았습니다.

 

▼ 즉조당(좌)과 준명당(우)의 뒷쪽인데, 좌우 대칭으로 복도(행랑)을 만들고 아궁이도 똑같이 만들었습니다.

 

▼  즉조당의 가퇴(退)인데, 준명당도 가퇴가 되어 있습니다. 가퇴는 생활공간을 확장하는 지금의 베란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 즉조당 뒷마당의 굴뚝 모습도 담아 봅니다, 크기는 작지만 다른궁의 굴뚝과 비슷하게 보이며, 십장생들을 그려넣지 않은 것이 다릅니다.

 

▼ 즉조당에서 준명당과 석조전을 바라봅니다.

 

▼ 덕수궁의 유일한 목조이층 건물의 석어당입니다.

 

▼ 석어당()은 임란 때 선조가 피난으로부터 환도하여 승하할 때까지 16년간 거처하였던 곳이며, 광해군이 인목대비(선조의 계비)를 유폐(1618~1623)하였던 곳이며, 인조반정후 이 곳 에서 인목대비가 가 광해군을 앞뜰에 꿇어 앉혀 죄를 책한 곳이라고도 합니다.

 

▼ 석어(昔御)라는 뜻은 옛날의 임금 즉 선조를 뜻한다고 합니다.

 

▼ 유현문은 벽돌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홍예문이며 문밖에는 학이 그려져 있고 문 안쪽에는 용이 새겨져 있습니다. 유현문은 정관헌에서 석어당 뒷뜰로 통하는 문으로 오직 어진 사람만 출입하는 문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고종은 덕혜옹주를 꼭 유현문으로만 다니게 했다고 합니다.

 

▼ 석어당 뒷편에는 주한영국대사관이 담장너머에 있습니다.

 

▼ 석어당 뒷뜰에서 보는 석류문입니다. 석류문으로 들어가면 덕홍전을 만나게 됩니다.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