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강을 주제로 네 번 시리즈로 발행한 우표를 모아 보았습니다
※ 명칭 : 한국의 강 시리즈(첫 번째) 우표
※ 발행 : 2007년 1월 18일
※ 인터넷우체국(K-stamp), 국가기록원에서 인용하였습니다.
‘강은 뭇 생명에게 무조건 베풀고 아예 갚음을 바라지 않는다∼’ 시인 구상은 이렇게 강을 노래한다. 삶의 젖줄이 되어온 우리의 아름다운 강을 소개하고자 앞으로 4년간 한국의 강 시리즈를 발행하며 그 첫 번째 묶음에서는 낙동강의 사계를 선보인다.
강원도 태백의 함백산에서 시작되어 영남 전역을 거친 후 남해로 흘러드는 낙동강의 물줄기는 약 525㎞에 달하며 유역 면적이 약 23,800㎢으로 한반도에서는 압록강 다음으로 긴 강이다.
낙동강(洛東江)이란 이름은 ‘가락국(駕洛國, 또는 가야)의 동쪽을 흐르는 강’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단 가야뿐 아니라 선사시대부터 신라에 이르기까지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국가가 세워지고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후로도 임진왜란과 6․25전쟁, 근대화와 산업화 등 민족의 애환을 함께해오며 낙동강은 우리의 삶의 터전이 되어 왔다.
낙동강 유역에는 150여 종의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사계절 먹이가 풍부하고 겨울에도 강물이 얼지 않는 등 생물의 서식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원생동물에서부터 어류, 조류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동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의 을숙도는 백조, 흑로, 붉은부리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왜가리, 흑두루미 등의 철새도래지로 유명하다.
※ 명칭 : 한국의 강 시리즈(두 번째) 우표
※ 발행 : 2008년 1월 18일
※ 인터넷우체국(K-stamp), 국가기록원에서 인용하였습니다.
지리산 기슭을 휘감아 돌며 남도의 정취를 가득 머금은 섬진강의 아름다운 풍광을 한국의 강 시리즈 두 번째 묶음으로 소개한다.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팔공산 자락에는 ‘데미샘’이라 불리는 작고 맑은 샘이 있다. 이곳이 바로 섬진강이 시작되는 발원지로 여기서 시작된 섬진강의 물줄기는 전라남·북도의 구석구석을 지나고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경계인 하동을 거쳐 남해로 흘러들게 된다.
섬진강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우왕 11년(1385년) 섬진강 하구에 왜구가 침입했을 때 수만 마리의 두꺼비떼가 우는 소리에 놀라 왜구가 이곳을 피해갔는데, 이때부터 두꺼비 섬(蟾), 나루 진(津)자를 붙여 섬진강이라 불렀다고 한다. 예로부터 그 풍요로움과 넉넉함으로 영호남의 삶의 터전이 되어 온 섬진강은 총 길이가 212.3㎞, 유역 면적이 4,896.5㎢이며 그 맑고 푸른 자연에는 물수리, 삵, 황조롱이, 수달, 왕은점표범나비 등 희귀생물과 천연기념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 명칭 : 한국의 강 시리즈(세 번째) 우표
※ 발행 : 2009년 2월 10일
※ 인터넷우체국(K-stamp), 국가기록원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흐르는 물결이 비단결과 같다하여 이름 붙여진 금강(錦江)을 한국의 강 시리즈 세 번째 묶음으로 소개한다.
금강은 전북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신무산 중턱의 자그마한 ‘뜬봉샘’에서 발원한다. 뜬봉샘의 어원은 이성계가 하늘에 기도를 드리던 중 조선 건국의 계시를 받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큰 봉황이 날아 올랐다하여 이렇게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역사적으로 찬란한 백제 문화를 꽃피웠으며 충청지역의 삶의 젖줄이 되어 온 금강은 충청남북도를 두루 거친 후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따라 군산을 통해 서해에 흘러드는데 그 길이가 장장 395.9km이고, 유역면적이 9,810㎢으로 남한에서는 한강과 낙동강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강이다. 갈대숲과 어우러진 운치 있는 금강하구는 겨울동안 고니 등 다양한 철새들이 서식하는 철새도래지로 잘 알려져 있다.
※ 명칭 : 한국의 강 시리즈(첫 번째) 우표
※ 발행 : 2010년 5월 11일
※ 인터넷우체국(K-stamp), 국가기록원에서 인용하였습니다.
한국의 강 시리즈 마지막 묶음으로 낙동강, 섬진강, 금강에 이어 한강(漢江)을 소개한다.
한반도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한강은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강원도와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을 거쳐 서해로 유입된다. 아리수(阿利水), 사평도(沙平渡), 한수(漢水) 등으로 불렸던 한강은 그 지리적 위치와 풍수지리설, 편리한 교통으로 인해 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을 이어왔고, 조선 태조의 한양 천도와 함께 한반도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되어왔다.
한강은 유로연장이 494.44km이고 유역면적이 2만 5,953㎢에 달하며 유량을 기준으로 볼 때 남한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강으로 그 아름다운 자연에 수많은 생물을 보듬고 있다. 서울시내 한강 생태계를 살펴보면 갈대, 물억새, 달뿌리풀 등 다양한 식물종과 황복, 각시붕어, 버들치, 꺽정이 등 71종의 어류, 그리고 노랑부리백로, 알락도요, 큰고니, 금개구리, 맹꽁이, 고라니, 너구리 등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총 1,600여종의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
- 여기까지입니다 -
'▣ 취미[우표.카드,화폐] > 관광시리즈우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표]한국의 다리 시리즈 (0) | 2024.05.10 |
---|---|
[우표]한국의 명산 시리즈 (0) | 2024.05.10 |
[우표]한국의 아름다운 도로 (0) | 2024.05.10 |
[우표]한국의 아름다운 등대 (0) | 2024.05.10 |
[우표]해안경관도로 (0) | 2024.05.10 |